서울시 기술교육원, 랜섬웨어 감염...전산실 전담 없어

서울시 기술교육원, 랜섬웨어 감염...전산실 전담 없어
[이미지: AI Generated by TheTechEdge]
💡
Editor Pick
- 교직원 출·퇴근 관리 프로그램 설치 원격시스템 PC 랜섬웨어 감염
- 교직원 성명과 지문 데이터, 출퇴근 기록 등 약 6년 간 축적 자료 암호화

작년에 발생한 서울시 D기술교육원 랜섬웨어 감염 사고가 서울시 감사위원회를 통해 뒤늦게 드러났다. 기술교육원 4곳 중 1곳인 D기술교육원은 전산실 보안관리 부실로 PC가 랜섬웨어에 감염됐다.

서울시 감사위원회는 "전산실 PC가 랜섬웨어 감염으로 교직원 근태자료가 소실됐다"며 "개인정보 보호 및 안전한 관리를 위해 조속한 시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D기술교육원은 '서울시 직업교육훈련시설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와 '서울시 행정사무의 민간위탁에 관한 조례'에 따라 2022년 3월1일 위·수탁협약서를 체결, 민간 위탁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다.

랜섬웨어 감염, 교직원 출·퇴근 기록 등 자료 암호화
그런데 2024년 12월 4일 D기술교육원 전산실 PC가 해킹돼 랜섬웨어에 감염됐다. 2024년 11월 25일 교직원 출·퇴근 관리 프로그램 점검을 위해 설치한 원격시스템 PC가 감염된 것이다. 랜섬웨어 감염으로 2019년부터 2024년 12월 3일까지 약 6년 간 축적된 교직원 성명과 지문 데이터, 출퇴근 기록 등이 포함된 전산자료가 암호화됐다. 자료는 복구가 불능한 상태로 파악됐다.

보안 관리 미흡‧백업 정책 미비
이에 대해 D기술교육원은 랜섬웨어 감염 2일(48시간) 이내에 보안 소프트 웨어를 설치하는 안전조치를 취했다.

하지만, 침해사고 발생 인지 후 지체 없이 위탁기관에 보고하지 않은 점, 개인정보 데이터 소실 등은 전산실 보안관리 부실로 문제가 됐다. 위탁기관은 2024년 기술교육원 지도점검 기간 중 D기술교육원 PC 랜섬웨어 감염 침해사고 발생 여부를 인지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D기술교육원은 그동안 전산실 전담 관리직원이 없었던 점과 개인정보 관리 소홀을 인정했다. 또한 현재는 전산실 전담직원이 매주 1회씩 교직원 근태 데이터를 백업, 올해 상반기 중 통신 네트워크 공사를 시행해 안전조치를 강화할 예정이라고 답했다.

서울시 “개인정보보호 규정 준수·보안 교육 강화” 지시
이에 따라 감사위는 조치 사항으로 "경제실장(가과장)은 기술교육원이 개인정보 보호법 등을 준수"를 지시하며 "개인정보가 안전하게 보호되도록 감독 업무와 유사 사례 발생 예방을 위해 전산 보안관리 담당자 교육 실시"를 주문했다.

고준용 시큐어링크 대표는 "이번 사고는 유지보수와 패치관리과정의 공급망 보안 부실로 인한 내부 시스템 장악과 대규모 데이터 암호화 피해"라며 "접근 권한 통제, 실행 파일의 신뢰성 검증, 외부 행위 점검과 변경이력 관리 등 공급망 전체에 대한 보안 프로세스 강화가 필수"라고 지목했다.

이어 고준용 대표는 "관리 편의를 위한 원격 시스템 도입, 패치 수행이 곧 위험요소로 전환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며 "정기적‧자동화된 백업, 격리 저장체계 구축 없이 단순 보안 소프트웨어 설치에 안주해서는 안 된다. 점검·업데이트 주체에 대한 검증과 책임소재, 사고 인지 즉시 기관 보고 및 신속한 백업 복구 절차가 체계적으로 마련 및 이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방효섭 엔피코어 연구기획실장은 "아직도 안티바이러스와 방화벽 등 레거시 보안솔루션만으로 최근 고도화되는 사이버침해사고를 막을수 있다는 인식이 이 같은 사고를 유발하는 가장 큰 원인"이라며 "랜섬웨어 공격 원인 파악과 대응 체계 구축에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ad more

전 세계 해커, 데이터 유출과 랜섬웨어 등 금융권에 '군침'

전 세계 해커, 데이터 유출과 랜섬웨어 등 금융권에 '군침'

💡Editor Pick - 금융권 노린 데이터 유출, 랜섬웨어 감염, 디도스 등 사이버 공격 기승 - 접근제어 강화, 고객 정보와 내부 자료 분리 저장, 백업 강화해야 금융권을 노린 데이터 유출, 랜섬웨어 감염, 디도스 공격 등 사이버 공격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보험사, 은행 등 전 세계적으로 금융권을 타깃으로 한 공격이 곳곳에서 발생하고

By CheifEditor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에 AI활용 주문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에 AI활용 주문

💡Editor Pick - “보이스피싱 등 디지털 범죄, AI 기술 활용해 민·관 협력할 것” 강조 - 보이스피싱 예방에 실질 효과 나타나도록 고도화와 홍보 당부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 근본 대책 모색 자리가 마련됐다.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8일 오전, KT 광화문 사옥서 열린 보이스피싱 대응 현장간담회서 보이스피싱 예방을 위해 AI활용을 주문했다. 배경훈

By CheifEditor
모니터랩, 웹 공격 트렌드 및 보안 대응 전략 제시

모니터랩, 웹 공격 트렌드 및 보안 대응 전략 제시

💡Editor Pick - 국내·글로벌 웹 공격 트렌드·대응 전략, 매월 웹 공격 동향 보고서 발간 - 고객사 인프라 로그 데이터 수집, 위협 정보 반영 보안 인사이트 제공 웹 애플리케이션 보안 기업 모니터랩은 국내 및 글로벌 웹 공격 트렌드와 대응 전략을 매월 웹 공격 동향 보고서를 통해 정기적으로 제공하고 있다고

By CheifEditor
구글 클라우드, AI 코딩 협업 도구 ‘제미나이 CLI 깃허브 액션’ 출시

구글 클라우드, AI 코딩 협업 도구 ‘제미나이 CLI 깃허브 액션’ 출시

💡Editor Pick - AI 에이전트 도구 무료 출시, 개발자 지원 전방위적 확대 - 오픈소스로 제공...새로운 워크플로 생성 및 커스터마이징 가능 구글 클라우드가 AI 코딩 파트너 ‘제미나이 CLI 깃허브 액션(Gemini CLI GitHub Actions)’을 무료로 출시했다. 구글 클라우드는  AI 기반으로 개발자 지원을 대폭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현지 시간 6일

By CheifEd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