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경쟁력 핵심, 데이터 양과 질"

- 인공지능 경쟁력 핵심, 데이터 양과 질 의견 대두
- 데이터 확보 어려움과 제약이 혁실 활동 가로막아
인공지능 경쟁력 핵심은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양과 질에 달렸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5일 서울 SW 마에스트로 연수센터서 개최된 ‘데이터 규제 혁신 간담회’에선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인공 지능 혁신 지원을 위한 데이터 활용 규제 혁신 방안이 논의됐다.
참석자들은 인공 지능 경쟁력은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양과 질에 달렸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업계와 전문가들은 여전히 각종 데이터 활용 규제가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보유한 스타트업의 데이터 확보에 제약 요인이 되고 있다며, 혁신 활동을 가로막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공공기관과 공기업이 보유한 신뢰성 높은 데이터와 공공 저작물 등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규제 유예제 등로 길을 열어줘야 한다고도 제언했다.
류제명 과기정통부 차관은 “인공 지능 경쟁력은 대량의 고품질 데이터를 얼마나 쉽게 확보하고 활용할 수 있는지에 달린 만큼, 새 정부서도 데이터 규제 혁신을 핵심 국정과제 추진으로 준비하고 있다”며 “현장 목소리를 반영해 정책 과제를 발굴하고, 규제 유예제 등 현장서 실증을 통해 단계적으로 사회적 합의를 도출해 나갈 계획이다. 국가AI위원회 중심으로 관계부처와 협력해 데이터 규제 혁신이 차질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 Materials
- THE STATE OF AI TALENT 2024 - Zeki, Atlastecnologico, 2024년
- AI in Talent Acquisition Market Size, Share | CAGR of 15.1% - Market.us, 2024년
- AI Recruitment Statistics 2025: Adoption, Automation & Market Outlook - AllAboutAI, 2025년
- AI Recruitment Market: Industry Analysis and Forecast (2024-2030) - Maximize Market Research, 2023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