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롬 업데이트 필수! 또 제로데이 나와

크롬 업데이트 필수! 또 제로데이 나와
Photo by Growtika / Unsplash
💡
Editor's Pick
- 크롬 브라우저에서 발견된 제로데이 취약점
- 사용자 입력값 제대로 확인하지 않는 취약점
- 그 외 고위험군 취약점 5개 더 패치

구글 크롬에서 제로데이 취약점이 발견됐다. 공격자들이 먼저 발견해 이미 익스플로잇 하고 있다. 구글도 이를 파악하고 긴급 보안 권고문을 패치와 함께 발표했다. 크롬 사용자들이라면 최신 버전으로의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문제의 취약점은 CVE-2025-6558로, 윈도 및 맥 환경에서는 138.0.7204.157/.158 미만 버전에, 리눅스 배포판에서는 138.0.7204.157 미만 버전에 영향을 준다. 구글에 의하면 이 취약점은 “ANGLE 및 GPU 구성 요소에서 발견되는 것으로, 사용자 입력값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는 것”이 그 특징이라고 한다. 

구글은 이 제로데이 취약점을 포함해 총 6개의 보안 취약점을 같이 패치했다고 알렸다. 그 중 3개는 고위험군으로 분류됐다며 조속한 패치 적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즉각적인 업데이트를 권합니다. 패치되지 않은 채 크롬을 사용하면 심각한 보안 위험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CVE-2025-6558은 구글 내 위협분석그룹(Threat Analysis Group, TAG)이 발견해 보고했다. 일반적으로 구글 내부 팀에서 취약점을 먼저 발견했다는 건 사건 대응 활동이 먼저 있었다는 의미가 된다. 즉, 구글에만 접수된 보안 사고나 소식이 있었고, 이에 대응하다가 취약점을 찾아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 제로데이 취약점이 대부분 그렇듯, 사고가 먼저 있고, 그 다음 발견이 이뤄졌음을 시사한다.

이것 외 두 개의 고위험군 취약점이 더 있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1) CVE-2025-7656 : 크롬 자바스크립트 엔진인 V8에서 발견된 정수 오버플로우 취약점

2) CVE-2025-7657 : 웹RTC(WebRTC) 기능에서 발견된 UaF 취약점

하지만 이 취약점들에 대한 세부 내용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구글은 충분히 많은 사용자들이 패치를 적용할 때까지 기술 정보를 숨기는 편이다. 기술 세부 내용은 방어자들에게도 도움이 되지만 공격자들이 실제 공격 코드를 만드는 데 중대한 힌트가 되기도 한다.

크롬은 수년 째 가장 많은 제로데이 취약점이 발견되는 소프트웨어로 남아 있다. 그만큼 사용자들이 많다는 뜻이다. 사용자들이 많은 소프트웨어는 제로데이 취약점 연구의 1순위가 된다. 과거에는 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가 1위를 굳건히 지켰었다. 하지만 제로데이 취약점이 거듭 문제가 되자, 어도비는 플래시 플레이어 자체를 아예 개발 중단했다. 아직 구글이 크롬을 단종시킬 가능성은 없다.


포티넷 ‘포티웹’서 9.6점 치명적 취약점 발견
💡Editor Pick - 공격자가 인증 없이 악의적인 SQL 코드를 주입 - 시스템 내 파일 생성, 데이터 유출 등 다양한 공격 가능 - CVSS 기준 9.6점 최대 등급 매우 위험한 수준 포티넷(Fortinet)이 웹 애플리케이션 방화벽 솔루션 ‘포티웹(FortiWeb)’에서 발견된 SQL 인젝션 취약점(CVE-2025-25257)에 대한 긴급 보안

Read more

미국 입양 단체, 110만 개인 민감 정보 노출시켜

미국 입양 단체, 110만 개인 민감 정보 노출시켜

💡Editor's Pick - 텍사스의 글래드니입양센터, DB 관리 실패 - 110만 명의 개인정보와 개인사, 각종 평가지 노출 - 데이터 암호화는 기본...비밀번호 설정과 주기적 점검도 기본 미국의 한 입양 단체가 110만 건이 넘는 개인정보를 노출시키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를 처음 발견한 보안 전문가 제레마이아 파울러(Jeremiah Fowler)는 “해당

By JustAnotherEditor
트럼프 추종자들만 쓰는 텔레메시지 앱, 민감 정보 노출

트럼프 추종자들만 쓰는 텔레메시지 앱, 민감 정보 노출

💡Editor's Pick - 시그널 기반 텔레메시지, 인증 메커니즘이 낡아 - 인증 과정 없이 특정 엔드포인트가 전체 공개돼 - 각종 민감 정보 포함될 수 있는 엔드포인트라 문제 보안 채팅 앱인 텔레메지시SGNL(TeleMessage SGNL)이 익스플로잇 공격에 노출됐다. 사용자들 간 오갔던 민감 정보들이 인터넷에 대량으로 노출됐다. 문제의 근원에는 CVE-2025-48927이라는 취약점이

By JustAnotherEditor
깃허브까지 섭렵한 다크웹 비즈니스맨, 멀웨어 유포 중

깃허브까지 섭렵한 다크웹 비즈니스맨, 멀웨어 유포 중

💡Editor's Pick - 깃허브 세 개 계정에 멀웨어 호스팅 되어 있어 - 2월에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캠페인...표적은 우크라이나 - 개발자들의 둥지인 깃허브, 곧 해커들의 둥지가 될 수도 개발자들 사이에서 널리 사용되는 코드 리포지터리인 깃허브(GitHub)가 멀웨어 배포처로서 악용됐다. 시스코(Cisco)의 탈로스(Talos) 팀이 지난 4월 발견한

By JustAnotherEditor
AI 휴머노이드 데이터 경량화 등 융합연구 본격 착수

AI 휴머노이드 데이터 경량화 등 융합연구 본격 착수

💡Editor Pick - 6개 신규 과제 선정… 216억 원 투입 - 미래 기술 경쟁력 확보·글로벌 협력 강화 - 친환경·저전력 신기술 개발 집중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인공지능(AI) 휴머노이드 데이터 경량화와 에너지 효율화 등 첨단 융합연구에 본격 착수한다. 사업은 국내·외 최고 연구진의 공동 연구와 미래 신기술 선점, 산업 패러다임 변화를

By CheifEditor